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아이폰15 수혜주 덕우전자 기업 전망

유용한 정보

by 오디티티 2023. 8. 11. 17:49

본문

덕우전자는 휴대폰 카메라용 스티프너 생산 기업니다. 스티프너란? 카메라 모듈을 고정하는 부품으로, 카메라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덕우전자는 삼성전자와 애플에 스티프너를 공급 중입니다. 덕우전자의 기업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덕우전자
덕우전자


덕우전자 주요지표

덕우전자의 주가는 22년 1월 14,000원까지 올랐지만, 이후 꾸준한 하락세. 느려진 스마트폰의 교체주기 변화와 중국 기업과의 경쟁 심화가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매출액: 2021년 2,000억원
  • 영업이익: 100억원
  • 순이익: 70억원
  • 자기자본: 1,000억원
  • 부채비율: 100%
  • 유동비율: 150%
  • PER (주가수익비율): 14.03
  • PBR (주가순자산비율): 1.70
  • PCR (주가매출비율): 14.49
  • EV/EBITDA (기업가치/상각전영업이익): 6.99
  • EPS (주당순이익): 840원
  • BPS (주당순자산): 6,918원
  • EBITDA (상각전영업이익): 302.7억원
  • DPS (주당배당금): 70원
  • 배당수익률: 0.59%

이러한 지표는 덕우전자의 재무 상태, 성장성, 수익성, 배당성 등을 나타냅니다. PER은 주가가 주당순이익의 몇 배에 거래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PER이 낮을수록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PBR은 주가가 주당순자산의 몇 배에 거래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PBR이 낮을수록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PCR은 주가가 주당매출액의 몇 배에 거래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PCR이 낮을수록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EV/EBITDA는 기업가치가 상각전영업이익의 몇 배에 거래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EV/EBITDA가 낮을수록 기업가치가 저평가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EPS는 주당순이익을 나타내는 지표로, EPS가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BPS는 주당순자산을 나타내는 지표로, BPS가 높을수록 기업의 자산이 많다고 볼 수 있습니다. EBITDA는 상각전영업이익을 나타내는 지표로, EBITDA가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DPS는 주당배당금을 나타내는 지표로, DPS가 높을수록 기업의 배당성향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배당수익률은 주당배당금을 주가로 나눈 비율로, 배당수익률이 높을수록 주주에게 배당을 많이 주는 기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덕우전자 차트
덕우전자 차트

2023년8월11일 종가 기준 덕우전자 주가는 5일,20일,60일,120일 이평선 하단에 위치해 있습니다. 단기적인 관점에서 봤을때 1만원 아래(9,500~9,900)에서 매수 후 12,000원 근처에서 매도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18%~23% 수익률을 예상합니다.

손절라인은 8,800원으로 정했습니다.

덕우전자 재무재표

덕우전자는 2022년 이후로 매출액이 급감한 채로 회복하지 못하는 추세입니다. 영업이익도 적자로 돌아섰네요. 장기적으로 들고가기엔 리스크가 있는 종목이라고 생각됩니다. 최근 백양산업 사태만 보더라도 오너리스크가 얼마나 위험한지 보여주므로 단기간 보유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비중은 30%미만으로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모든 투자의 결과는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관련글 더보기